블로그에 포스팅을 하다보면 가끔 과거에 쓴 글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올라와서 업데이트를 해야 할 경우가 있다. 과거에 쓴 글이 많으면 그에 따른 업데이트 글도 많아지곤 하는데 아주 오래전에 쓴 글에 대해서는 이렇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이 쉽지가 않아서 그냥 넘어가곤 한다. 대신 최근에 쓴 글에 대한 새로운 정보나 바뀐 정보가 뉴스로 올라오게 되면 해당 글에 덧붙임으로 쓰거나 새로 글을 쓰고 이전 글에 연결시키는 방식을 취하곤 한다.
난 오늘 2가지 포스트를 올렸는데 둘 다 이전 포스트에 대한 반박성 포스트들이었다. 하나는 MS의 마켓플레이스인 Windows Marketplace for Mobile에 대한 글이었는데 이전에 CNet을 통해서 기사로 올라온 정보에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할 경우에 새로 등록할 때와 같이 $99를 받게 하겠다는 내용이었다. 그래서 그 뉴스를 보고 글을 썼다. MS의 경우 애플의 앱스토어 성공을 보고 그대로 따라하는 상황이었는데 후발주자로 뛰어들어 좀 더 개발자 및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포인트를 제공해야 하는데 이런 좀 말도 안되는 정책을 내놓는데에 대해서 실망감을 감추지 못한다는 느낌을 섞어서 글을 썼다. 그리고 오늘 다시 CNet을 통해서 해당 정책이 취소가 되었다는 뉴스를 받았다. 그렇다면 이전에 내가 쓴 글은 수정되지 않으면 거짓 포스트가 된다. 결국 예전에 추진할려고 했던 그 정책이 폐지되었다는 내용의 포스트를 올리고 이전의 포스트에 해당 내용이 폐지되었다는 코멘트를 달고 새로 쓴 포스트를 연결시켰다. 내용이 바뀌면서 기존 포스트도 수정해야 했고 새로 글도 써야만 했다. 물론 블로그에 쓸 꺼리가 생겨서 나쁜 것은 아니었고 한 때의 해프닝으로 끝날 수 있는 일이지만 내 글에 답변을 달아준 사람들에게는 좀 미안한 상황이 되어버렸다.
또 하나의 글은 호텔리콥터라는 헬리콥터에 객실을 갖춘 여객 헬리콥터 이야기다. 원래 이 글은 그저께 썼지만 나중에 공개할려고 비공개한 상태였다. 그런데 야후에 국내에 한 언론이 호텔리콥터에 대한 기사를 올린 것을 확인하고는 늦어서는 안되겠다 싶어서 비공개된 글을 발행을 했다. 나름 반응은 있었다. 그 중에는 CG같다는 애기도 있었지만 주로 신기하다는 반응이 대다수였다. 그런데 오늘 아는 지인을 통해서 이 호텔리콥터가 뻥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요텔이라는 호텔 비스므리한 것을 마케팅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가짜라는 것이다. 보잉보잉이라는 블로그를 통해서 가짜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난 결국 본의 아니게 낚시질을 한 셈이 되었다. 해당 글에 댓글을 단 방문자들을 낚시한 꼴이 되어버렸단 말이다. 어쩔 수 없이 호텔리콥터는 뻥이었습니다라는 내용의 포스트를 올리고 해당 글과 이전에 썼던 글을 연결시켰다. 이전에 쓴 글에는 호텔리콥터는 뻥이었다고 코멘트를 달아둔 상태고 새로 쓴 글에 연결시켰다. 앞서 윈도 마켓플레이스 때와 마찬가지로 말이다.
2가지 경우가 좀 다르기는 하지만 기존의 글을 뒤집는 내용이 공개되어 다시 글을 쓴 경우라는 데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바뀐 내용에 대해서 글을 쓰고 기존 글에 업데이트 하지 않으면 그 글은 거짓된 글이 될 것이고 결국 그 포스트로 인해 내 블로그는 신뢰를 잃어버리게 되고 구독자가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예전에 쓴 글에 대한 AS도 확실해야 할 듯 보이는 일련의 오늘 뻘짓을 보면서 글을 쓸 때는 신중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블로그가 신문기사와 다른 점은 속보전이 아닌 블로거만의 시각으로 기자가 볼 수 없는 부분을 집어내고 기자가 쓸 수 없는 감성적인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이라 생각한다. 신문기사는 그 때만 지나면 의미없는 글이 되어버리지만 블로그의 글은 시간이 지나도 다시 읽어도 도움이 되거나 감동을 줄 수 있는 글이어야 한다는 생각도 든다. 물론 어떤 블로그를 운영하느냐에 따라서 이러한 기준들은 바뀔 수 있지만 적어도 학주니닷컴에 올라가는 글들은 그러한 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은 한다. 그렇게 안되는 것이 아쉽지만 말이다.
오늘의 이 두가지 사례로 어떻게 블로그에 글을 써야하는지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2009년 3월 31일 화요일
2009년 3월 24일 화요일
일부러 블로그로 싸움을 걸어오는 쓰레기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가급적 적을 만들지 말자는 것이 내 기본 블로그 운영방침인데 일부러 적이 되겠다고 싸움을 걸어오는 묘한 종족들이 있다. 저번달에 있었던 TNM에 대한 반응에 이어 좀 조용하다 싶었는데 오늘 올블로그에 가보니 해머하트라는 오크종족(개인적으로 해머하트를 비롯한 몇몇 까대기 블로거를 젖녀오크와 동급인 오크족으로 본다)이 내 블로그가 아닌 다른 블로그에 쓴 내 댓글을 갖고 까대는 글을 쓴 것을 보게 되었다. 대상이 되었던 포스트는 머니아머니아님의 '블로거들끼리 치고받고, 서로 박살내면, 후련~하십니까?'라는 포스트다. 이 글이 블로그코리아의 블업 베스트에 꽤 오랜시간 올라와있었고 이 글을 보고 내가 쓴 댓글을 보고 저 오크족이 지 블로그에 또 뭐라고 써갈겼다.
해당 글은 링크하기도 아까운 쓰레기 글이다.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고서는 머니아머니아님때문에 쓴 글이 아니라 나때문에 쓴 글이랜다. 글 내용은 열심히 그 분이 쓴 글을 까대놓고는 말이다. 적당히 둘 다 엿먹어라 하는 식의 글이며 눈만 버리는 글이다. 한마디로 대놓고 나한테 덤벼든 것인데(제목도 지는 까대기 블로그라고 하더라. 파이터 블로그? 찌질이 블로그겠지 ㅎㅎ) 이제 어이없음을 넘어서 오크족이 내뱉는 배설물에 흥분할 필요가 없겠구나 하는 생각마져 든다. 내 주변 사람들도 해머하트라는 오크족이 정상이 아니라는 얘기를 한다. 아~ 앞에서 쓴 전녀오크와의 동급도 취소해야겠다. 차라리 전녀오크가 더 상태가 좋다. 얘는 그마저도 못한 종족이니까...
문제는 이런 글에 동의하는 몇몇 블로거들이 있다는데 있다. 그런데 가만보면 거의 정해져있는 듯 보인다. 해머하트의 글에 동조하는 블로거들은 대표적으로 꿈틀꿈틀이라는 또 하나의 오크족이 있고 아X(뭐시기)하는 블로거도 있다(다른 블로거들도 있는데 일단 이정도만). 블로그의 소통을 얘기하면서 댓글도 닫아두는 그런 앞뒤 안맞는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다. 꿈틀꿈틀은 아예 한국사람 전체를 몽땅 욕하는 식의 글을 쓴다. 이런 글들이 메타블로그사이트(올블로그나 블로그코리아 등)에 가끔 상위에 랭크되곤 하는데 아마도 이런 까대는 블로그 연합이나 네트워크가 존재해서 서로 추천해주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정말로 존재하는 듯 보인다).
지들은 자기 글이 정당하고 논조에 맞고 논리적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상식선에서 암만 보고 생각해봐도 논리도 안맞고 앞뒤 생각없이 무조건 욕하고 보자는 식의 글을 쓰면서 열심히 동의를 구하고 또 댓글도 지들 입맛에 맞는 댓글만 선별해서 달게 해서 지들 글이 동의를 많이 얻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데 웃기지도 않는다. 초딩도 그 글을 보면 논리가 전혀 안맞고 그냥 까댈려고 쓰는 글이라는 것을 뻔히 알 수 있는데 말이다. 그러면서 소통을 논하다니 지나가는 개가 웃을 일이다.
일부러 싸움을 걸어오고 있는데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뭐 생각같아서는 그동안 지 블로그에 쓴 나에 대한 글들을 몽땅 캡춰해서 사이버수사대에 고소라도 하고 싶지만 그러면 괜히 내 꼴만 우스워지니(오크족과 싸워봤자 남는게 없다) 그냥 넘어갈련다. 물론 정도가 이보다 더 심하다면 오크족들이 싫어하는 이 나라의 법을 이용하는 수 밖에 없겠지만 말이다. 지금은 일단 무시하는게 좋을 듯 싶어서 그냥 있을 뿐이다.
그나저나 그 해머하트라는 오크족은 뭐하는 물체일까? 밥이나 제대로 얻어먹고 다니는지 그게 궁금하다. ㅋㅋㅋ
해당 글은 링크하기도 아까운 쓰레기 글이다.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고서는 머니아머니아님때문에 쓴 글이 아니라 나때문에 쓴 글이랜다. 글 내용은 열심히 그 분이 쓴 글을 까대놓고는 말이다. 적당히 둘 다 엿먹어라 하는 식의 글이며 눈만 버리는 글이다. 한마디로 대놓고 나한테 덤벼든 것인데(제목도 지는 까대기 블로그라고 하더라. 파이터 블로그? 찌질이 블로그겠지 ㅎㅎ) 이제 어이없음을 넘어서 오크족이 내뱉는 배설물에 흥분할 필요가 없겠구나 하는 생각마져 든다. 내 주변 사람들도 해머하트라는 오크족이 정상이 아니라는 얘기를 한다. 아~ 앞에서 쓴 전녀오크와의 동급도 취소해야겠다. 차라리 전녀오크가 더 상태가 좋다. 얘는 그마저도 못한 종족이니까...
문제는 이런 글에 동의하는 몇몇 블로거들이 있다는데 있다. 그런데 가만보면 거의 정해져있는 듯 보인다. 해머하트의 글에 동조하는 블로거들은 대표적으로 꿈틀꿈틀이라는 또 하나의 오크족이 있고 아X(뭐시기)하는 블로거도 있다(다른 블로거들도 있는데 일단 이정도만). 블로그의 소통을 얘기하면서 댓글도 닫아두는 그런 앞뒤 안맞는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다. 꿈틀꿈틀은 아예 한국사람 전체를 몽땅 욕하는 식의 글을 쓴다. 이런 글들이 메타블로그사이트(올블로그나 블로그코리아 등)에 가끔 상위에 랭크되곤 하는데 아마도 이런 까대는 블로그 연합이나 네트워크가 존재해서 서로 추천해주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정말로 존재하는 듯 보인다).
지들은 자기 글이 정당하고 논조에 맞고 논리적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상식선에서 암만 보고 생각해봐도 논리도 안맞고 앞뒤 생각없이 무조건 욕하고 보자는 식의 글을 쓰면서 열심히 동의를 구하고 또 댓글도 지들 입맛에 맞는 댓글만 선별해서 달게 해서 지들 글이 동의를 많이 얻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데 웃기지도 않는다. 초딩도 그 글을 보면 논리가 전혀 안맞고 그냥 까댈려고 쓰는 글이라는 것을 뻔히 알 수 있는데 말이다. 그러면서 소통을 논하다니 지나가는 개가 웃을 일이다.
일부러 싸움을 걸어오고 있는데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뭐 생각같아서는 그동안 지 블로그에 쓴 나에 대한 글들을 몽땅 캡춰해서 사이버수사대에 고소라도 하고 싶지만 그러면 괜히 내 꼴만 우스워지니(오크족과 싸워봤자 남는게 없다) 그냥 넘어갈련다. 물론 정도가 이보다 더 심하다면 오크족들이 싫어하는 이 나라의 법을 이용하는 수 밖에 없겠지만 말이다. 지금은 일단 무시하는게 좋을 듯 싶어서 그냥 있을 뿐이다.
그나저나 그 해머하트라는 오크족은 뭐하는 물체일까? 밥이나 제대로 얻어먹고 다니는지 그게 궁금하다. ㅋㅋㅋ
미디어 2.0을 다시 시작하면서...
여기 텍스트큐브닷컴에 미투로그를 남겼는데 미투로그를 티스토리로 옮기고 여기에는 다시한번 메인블로그(학주니닷컴)에서 할 수 없는 이야기들을 다루는 블로그로 활용할려고 한다. 여러번 시도했는데 매번 멀티블로깅을 실패했던지라 솔직히 잘 될까 겁나기는 하지만 잘해볼려고 한다.
메인블로그의 경우 의외로 많이 알려져서 자칫 속에 있는 이야기를 여과없이 썼다가는 의외의 파장이 커져서 뭔가를 쉽게 쓰기가 어렵다. 이미 한번 크게 당해본 경험이 있는지라 아무래도 글쓰는데 있어서 조심스러워진다. 그렇다고 블로그를 하면서 속앓이만을 할 수도 없고 어딘가에는 써서 속을 풀어보고는 싶은데 미투데이나 트위터에 쓰기에는 너무 양이 작고 페이스북의 노트에 쓰기에는 뭔가 미진하고 싸이도 좀 그렇고.. 그래서 다른 블로그(잘 안알려진)를 운영해서 여기에 내 개인적인, 속에 있는 이야기들을 풀어낼까 싶다. 티스토리를 이용해볼까 싶었지만 티스토리보다는 여기 텍스트큐브닷컴이 좀 더 나아보였던 것이 이웃블로거라는 개념도 있고 블로그이면서도 커뮤니티라는 느낌도 들어서 딱 맘에 들었다. 그래서 이 블로그에 있었던 미투데이 로그를 티스토리로 옮겼다(덤으로 마가린 로그도 그쪽으로 옮겼다).
미디어 2.0이라는 거창한 이름을 지었지만 일단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느끼는 내 개인적인 이야기가 주를 이룰 것이다. 블로그에 대한 이야기를 쓰기 때문에 미디어 2.0이라는 이름을 붙였지만 결국 개인 일기장과 비슷한 성격을 띄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메인 블로그보다는 아무래도 좀 덜 신경쓰게 될 수 밖에 없지만 그래도 신경쓰면서 운영해야겠다.
최근 학주니닷컴을 운영하면서 여기저기 블로고스피어를 돌아보면서 생각되는 바가 많아서 쓸 꺼리도 쫌 되는거 같다. 과연 어떨까?
메인블로그의 경우 의외로 많이 알려져서 자칫 속에 있는 이야기를 여과없이 썼다가는 의외의 파장이 커져서 뭔가를 쉽게 쓰기가 어렵다. 이미 한번 크게 당해본 경험이 있는지라 아무래도 글쓰는데 있어서 조심스러워진다. 그렇다고 블로그를 하면서 속앓이만을 할 수도 없고 어딘가에는 써서 속을 풀어보고는 싶은데 미투데이나 트위터에 쓰기에는 너무 양이 작고 페이스북의 노트에 쓰기에는 뭔가 미진하고 싸이도 좀 그렇고.. 그래서 다른 블로그(잘 안알려진)를 운영해서 여기에 내 개인적인, 속에 있는 이야기들을 풀어낼까 싶다. 티스토리를 이용해볼까 싶었지만 티스토리보다는 여기 텍스트큐브닷컴이 좀 더 나아보였던 것이 이웃블로거라는 개념도 있고 블로그이면서도 커뮤니티라는 느낌도 들어서 딱 맘에 들었다. 그래서 이 블로그에 있었던 미투데이 로그를 티스토리로 옮겼다(덤으로 마가린 로그도 그쪽으로 옮겼다).
미디어 2.0이라는 거창한 이름을 지었지만 일단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느끼는 내 개인적인 이야기가 주를 이룰 것이다. 블로그에 대한 이야기를 쓰기 때문에 미디어 2.0이라는 이름을 붙였지만 결국 개인 일기장과 비슷한 성격을 띄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메인 블로그보다는 아무래도 좀 덜 신경쓰게 될 수 밖에 없지만 그래도 신경쓰면서 운영해야겠다.
최근 학주니닷컴을 운영하면서 여기저기 블로고스피어를 돌아보면서 생각되는 바가 많아서 쓸 꺼리도 쫌 되는거 같다. 과연 어떨까?
피드 구독하기:
글 (Atom)